ID저장
모바일버전은 모바일상품구매시 사용가능합니다
모바일버전은 모바일상품구매시 사용가능합니다
추천검색어: 계곡 , 맛집 , 1박2일코스 , 당일코스 , 여행코스 , 민박 , 펜션
물방울 지도검색
여행|펜션
인기여행
축제정보
음식궁합 | 영양칼로리표
요리|약선
민간요법
  국립공원|명산
  폭포|계곡
  해수욕|해변|섬
  호수|강|동굴
  생태지|수목원
  관광지|유원지
  온천|찜질|스파
  고택|사찰|유적
  캠핑레포츠
  박물관|문화
  촬영지|배경지
  놀이|테마공원
  여행코스
  테마별여행
  지역명소인기순
  관광명소동영상
  펜션
  민박
  호텔리조트
  모텔|기타숙박
  팜스테이|체험
  휴양관|산림욕
  장.단기임대
  에어비앤비게하
  한식
  양식|일식|중식
  분식|빵|기타
  카페|술|노래방
  TV&방송맛집
  지역특미맛집
  농수축임산물
  가공기타식품
  버스터미널
  기차역
  여객선터미널
  공항
테이블테스트
펜션민박숙박&맛집&여행코스 > 외암리민속마을 (고유번호:1504)
 외암리민속마을  조회 : 8519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미투데이로 보내기요즘으로 보내기

외암리민속마을 기본정보

마을 중요 민속자료 제 236호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아산 외암 민속마을은 약 500년전부터 부락이 형성되어 충청 고유격식인 반가의 고택과 초가돌담(총 5.3km), 정원이 보존되어 있으며 다량의 민구와 민속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가옥 주인의 관직명이나 출신지명을 따서 참판댁, 병사댁, 감찰댁, 참봉댁, 종손댁, 송화댁, 영암댁, 신창댁 등의 택호가 정해져 있으며, 마을 뒷산 설화산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시냇물을 끌어들여 연못의 정원수나 방화수로 이용하고 있다. 돌담장 길이가 500m나 되는 이끼 낀 돌담을 돌면 이 마을의 역사를 짐작할 수 있는데, 돌담 너머로 집집마다 뜰안에 심어놓은 감나무, 살구나무, 밤나무, 은행나무 등이 들여다 보인다.


전체 가구수가 60여호인 외암리 민속마을에는 마을 입구의 장승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디딜방아, 초가지붕 등이 보존되어 있으며 주민들이 살고있는 집들은 대부분 초가집이고 그외 기와집은 10여채가 되는데 대개 100년~200년씩 되는 집들이다. 그 때문에 1988년 정부에서 전통 건조물 보존지구로 전국에서 두번째로 지정되었다가 2000년 1월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36호로 지정 보존중이다. 외암리 민속마을 내 고택은 사유지로 본래 출입이 불가하지만 집 주인의 양의를 얻어 관람할 수도 있다. 최근 이곳에는 사극이나 영화 촬영이 많아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오고 있다 특히 드라마 [덕이], [야인시대] 영화 [취화선], [태극기 휘날리며] 등이 촬영되었다.



* 문화유산

1) 건재고택(영암군수댁)

영암군수를 지낸 이상익(李相翼,1848~1897)이 살던 집이어서 '영암군수댁'이라고도 불리운다. 이상익은 예안이씨의 18세손으로, 외암 이간은 이상익의 직계 5대조이다. 현재 집주인은 이상익의 고손 이준경 씨이며, 그의 말에 의하면, 외암 이간이 태어난 곳도 바로 이 집터였다고 한다. 건재고택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데 건재(建齎)는 이상익의 아들인 이욱렬(李郁烈)의 호이다. 현재의 가옥이 완성된 것을 건재당 때라고 한다.

2) 참판댁(큰댁)
이조참판을 지낸 퇴호 이정렬(1865~1950)이 살던 집이라 '참판댁'이라는 택호를 갖게 되었다. 이사종의 11세손인 이정렬은 할머니가 고종비인 명성황후의 이모이기 때문에 명성황후로부터 각별한 은총을 받았다. 참판댁은 이정렬이 고종황제로부터 하사받아 지은 집이라. 고종황제가 이정렬에게 하사해 '퇴호거사(退湖居士)'라는 사호를 영왕이 9세때 쓴 현판이 아직 남아 있다.

3) 송화댁
송화군수를 지낸 이장현(1779~1841)으로 인해 '송화댁' 이라는 택호가 붙여졌다. 이장현은 이사종의 9세손으로 호사 초은(樵殷)이며 순조 10년 식년시에 진사가 되었다. 안채와 사랑채 사이의 동편에 중문간을 두어 전체적으로는 건물과 건물사이가 조금씩 떨어진 튼 'ㅁ'자 집을 하고 있다.

4) 교수댁
이 집은 이사종의 13세손인 이용구(1854~?)가 경학으로 성균관 교수를 지냈다고 하여 붙은 택호이다. 원래 사랑채, 안채, 행랑채, 별채가 있었으나 다 없어지고 안채와 행랑채, 사당만 남아있다. 사랑채가 없어지기는 했지만 이 집도 마을의 다른 집처럼 앞에 'ㅡ'자 모양의 사랑채를 두고 뒤쪽에는 'ㄱ'자 모양의 안채를 둔 튼 'ㅁ'자 집이다.

5) 병사댁,신창댁
이 집은 홍경래난을 진압한 이용현(1783~1865)으로부터 유래한다. 이용현은 이사종의 9세손으로 무과로 급제하여 총관, 경연특진관 등을 지냈다. 이용현은 6세손인 이창선까지 현재의 신창댁에 살았으므로 전에는 이 집을 병사댁이라 불렀다. 그러나 현재는 그 후손이 서울로 이전하여 외암리에서 병사댁 택호는 없어졌다.

6) 참봉댁
이사종의 12세손인 이중렬(1859~1891)과 그의 아들 이용후(1886~1955)부자가 참봉벼슬을 지낸 연유로 얻은 택호이다. 특히 이중렬은 1891년의 증광시에서 진사에 급제했다.

7) '외암 이간'의 묘소와 신도비
외암 이간의 묘소는 외암마을의 서쪽 100여m떨어진 구릉에 서향으로 자리잡고있다. 외암 이간은 1727년 윤 3월 14일에 별세하였고, 그 해 5월에 온양군 유곡에 장례를 치렀다가, 1961년 3월에 현재의 위치로 이장하였다. 묘소주위는 소나무가 울창하게 잘 가꾸어져 있다.

8) 반석과 석각
반석은 외암마을의 입구에 있는 바위이다. 반석이 개천 바닥에 깔려있고 마을쪽으로 '외암동천(巍岩洞天)'과 '동화수석(東華水石)'이라는 글을 새겨두었다. 동화수석 석각은 높이 50cm, 너비 2m의 크기인데, 두께 50cm정도 되는 자연석에다 우측에서 좌측으로 큰 글씨로 새겼으며, 그 우측에 기미(己未), 그리고 그 좌측에 이백선서(李伯善書)라고 작은 글씨가 새겨져 있다.

9) '열녀 안동권씨' 정려
마을의 입구 다리를 건너기 전 좌측에 열녀 안동권씨 정려가 있다. 정려는 정면과 측면이 각각 1칸으로 작은 규모이다.
10) '외암 정사'(관선재,외암서원)와 강당사
강당사는 원래 외암 이간이 강학을 하던 외암정사(巍巖精舍)였다.조선숙종 33년(1707)에 세운 외암 정사는 추사 김정희가 쓴 (혹은 수암 권상하의 글씨라고도 함) '관선재(觀善栽)'라는 편액 때문에 관선재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11) 용추와 석각
용추(龍湫)는 송악면 강당리의 안쪽, 멱시 아래 냇가에 있는 못이다. 이곳은 오늘날에도 인근에 널리 알려진 피서지인데 예전에도 외암리의 선비들이 자주 찾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테   마 : 

외암리민속마을 가는길

* 장항선 철도 - 온양온천역
* 경부고속도로 천안IC 국도21호(20km) - 신도리코앞사거리 - 읍내동사거리 - 국도39호(10km) - 송악외곽도로 - 외암민속마을
* 서해고속도로 서평택IC - 국도39호(28km) - 온양온천(6km) - 송악나드리 - 읍내동사거리 - 송악외곽도로 - 외암민속마을


방법) 천안아산 → 외암리민속마을  
 
출발 : 온양온천역
운행버스 : 120번
배차간격 : 60분 간격
버스 소요시간 : 30분
하차정류장 : 외암민속마을
목적지 소요시간 : 도보 3분 
 
출발 : 온양고속터미널
운행버스 : 유구, 강장리, 송악행
배차간격 : 20분 간격
버스 소요시간 : 20분
하차정류장 : 송악 농협 앞
목적지 소요시간 : 도보 3분
비고 : [승차위치]건너편에서 승차 
 
출발 : 온양고속터미널
운행버스 : 강당골행
배차간격 : 1시간
버스 소요시간 : 20분
하차정류장 : 민속마을 앞
비고 : [승차위치]건너편에서 승차 
 
출발 : 천안아산역
비고 : 아산터미널방면(200번버스, 30분소요, 30분간격) 
 
출발 : 도고온천역
비고 : 아산터미널이용(택시 30분소요)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지도정보를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주소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입력하여 주십시오.
연관글 보기
외암리민속마을 0 미터 마을 중요 민속자료 제 2... 고궁|생가|민속
아산 맹씨행단(맹사성 고... 2,257 미터 맹사성 고택은 설화산을 ... 고궁|생가|민속
성준경 가옥 11,611 미터 조선시대 중부 지방의 특... 고궁|생가|민속
금이성 18,885 미터 철옹성으로 불리던 산성,... 고궁|생가|민속
추사고택 20,035 미터 조선후기의 실학자이며 ... 고궁|생가|민속
운주산성 23,110 미터 고대 산성 연구의 귀중한... 고궁|생가|민속
위례산과 위례성지 26,616 미터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 고궁|생가|민속
공산성 진남루 30,960 미터 공산성의 남문, 공산성 ... 고궁|생가|민속
서운산성 30,985 미터 이 성은 북산리성지라고... 고궁|생가|민속
이해룡고가 31,399 미터 경기도의 제일 남쪽 끝인... 고궁|생가|민속
공산성 동문루(東門址) 31,836 미터 공산성의 동문의 터가 있... 고궁|생가|민속
면천읍성 32,722 미터 당진군은 서산, 태안 등... 고궁|생가|민속
무한성 36,290 미터 이 성은 산정 고원지에 ... 고궁|생가|민속
우산성 36,744 미터 백제시대의 산성, 우산성... 고궁|생가|민속
서한순 효자문 36,796 미터 이 효자문은 조선 헌종 1... 고궁|생가|민속
청주신전동고가 37,075 미터 일제강검기의 고가, 신전... 고궁|생가|민속
    
2024년 9월 여... [강원도]
2024년 3월 11... []
2024년 3월 6일... []
다래하우스펜션 [강원도]
2024년 1월 23... []
2024년 1월 9일... []
2024년 1월 8일... []
2024년 1월 5일... []
2023. 11, 1주 ... [서울]
대구 달성공원 ... [대구]
오륙도 스카이... [부산]
화담숲 가을 단... [경기도]
제17회 거제섬... [경상남도]
2023 대한민국 ... [전라남도]
2023년 청송사... [경상북도]
2023년 태안 가... [충청남도]
2023년 추석 연... [충청남도]
안산별빛마을 ... [경기도]
안산별빛마을 ... [경기도]
용궁가족 휴양... [전라북도]
수안보온천힐링... [충청북도]
강원도 화천 산... [강원도]
청양 칠갑산 얼... [충청남도]
거제도 여행 가... [경상남도]
서울 경기 봄꽃... [서울]
국내여행지 가... []
키즈펜션 전국 ... [경기도]
독채펜션 전국 ... [경기도]
산동약수장 [전라남도]
힐링 드라이브... [경기도]
힐링여행지 비... [대전]
빅데이터로 알... [부산]
강원도 고성 가... [강원도]
부산 근처 근교... [부산]
서울여행 서울 ... [경기도]
경북 영덕 대구... [경상북도]
충남 태안 근교... [충청남도]
25. 충남 태안 ... [충청남도]
경기도 가평 드... [경기도]
강원도 춘천 근... [강원도]
부산 대구 근교... [경상남도]
전국 드라이브... [경기도]
경기도 양평 근... [경기도]
                   
외박닷컴-펜션숙박&맛집&여행
Copyright(c) 2025 펜션민박숙박&국내여행가볼만한곳_외박닷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