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이블테스트
 |
|
펜션민박숙박&맛집&여행코스 > 북한산성 (고유번호:4325) |
|
|
북한산성은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할 때 도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백제 개루왕 5년(132)에 축성되었다. 이 때 백제의 주력군이 이 성에서 고구려의 남진 세력을 막았다. 그 후 근초고왕의 북진 정책에 따라 북정군의 중심 요새가 되었다. 그러나 개루왕 21년(475)에 강력한 고구려군이 북한산성을 7일간 공격하여 치열한 공방전 끝에 성이 함락되자 백제의 도성도 유린되어 백제 개로왕이 고구려군에 잡혀 살해당했다. 이 싸움으로 인하여 백제는 공주 웅진성으로 도읍을 옮기고, 백제와 신라는 고구려의 남진정책을 연합 전선으로 막았다. 진흥왕 14년(553)에 신라는 백제의 영토였던 한성 지역을 신라의 영토로 빼앗았다. 진평왕 25년(603) 8월 고구려 장군 고승이 신라의 북한산성을 포위공격하자 신라 진평왕이 1만의 군사를 거느리고 구원하였으며 무열왕 8년(661) 5월 고구려 장군 뇌음신이 말갈 장군 생개와 더불어 북한산성을 20일간 포위 공격하여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었다. 이때 북한산성 성주 동타천은 성 내 주민을 합한 2,800명의 인원으로 필사 결전을 감행하여 이 산성을 방어하였다.
* 주요문화재
1) 북한산 진흥왕순수비 터(사적 제 228호)
2) 마애석가여래좌상(보물 제 215호: 종로구 구기동),
3) 마애석가여래입상(보물 제 657호: 은평구 진관내동)
4)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보물 제 611호: 고양시 북한동)
5) 태고사 원증국사탑(보물 제 749호: 고양시 북한동)
6) 탕춘대성(지방문화재 제 33호: 종로구 신영동, 홍제동)
7) 연산군묘(사적 제 362호)
|
|
|
테 마 : | |
길 안내
구파발 3거리 - 북한산성길 우회전 - 3.7km쯤 가면 북한산성 입구에 도착 |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 1-1 외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지도정보를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주소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입력하여 주십시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