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이블테스트
 |
|
펜션민박숙박&맛집&여행코스 > 천은사 (고유번호:4988) |
|
|
천은사는 구례읍 북쪽 9km지점, 지리산 일주도로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흥덕왕 3년 (828년)에 덕운조사와 인도의 승려 '스루'가 터를 닦고 지은 절로서 화천양사라 하여 화엄사와 함께 지리산 3대 사찰로 손꼽힌다.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조선 광해군 2년(1610년)에 혜정선사가 다시 지었으나 숙종2년(1676년)에 불에 타버려 그 이듬해 절을 지었다가 영조49년(1773)에 화재를 당해, 영조 51년 (1775년)에 혜암선사가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렀다.
천은사의 본래 이름은 828년 인도승려와 덕운조사가 창건할 당시 경내에 이슬처럼 맑은 차가운 샘이 있어 감로사라 했는데, 이 물을 마시면 흐렸던 정신이 맑아진다 하여 많은 스님들이 몰려 들어 한 때는 천명이 넘는 스님이 지내기도 했으며 고려 충렬왕 때는 남방제일 사찰로 승격되기도 했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중건할 때 샘가에 큰 구렁이가 자주 타나기에 잡아죽였더니 샘이 솟아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샘이 숨었다하여 조선 숙종 4년(1677년)부터 천은사라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상하게도 이름을 바꾼 후부터 원인모를 화재가 잦고 재화가 끊이지 않았다. 주민들도 절의 수기를 지켜주는 구렁이를 죽였기 때문이라며 두려워하였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조선4대 명필의 한사람인 원교 이광사가 지리산 천은사라는 글씨를 물 흐르는 듯한 서체로 써서 걸었더니 이후로는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도 새벽녘 고요한 시간에는 일주문 현판 글씨에서 물흐르는 소리가 은은하게 들린다고 한다.그러고 보면 일주문은 절의 귀중한 내력을 담고 있는 셈이다. 천은사는 주위의 풍광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극락보전 아미타후불탱화인 보물1점과 지방문화재 2점이 있으며, 절입구 계곡을 가로질러서 있는 정자 수홍루는 눈 아래 어리는 물그림자와 더불어 아름다운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한다.
등산로
천은사 - 시암재 - 성삼재 - 달궁(22.5㎞, 8시간 소요)
|
|
|
테 마 : | |
장애인 편의시설
화엄사에는 턱과 계단, 비포장길이 많지만 차량이 다닐 수 있는 경사진 길로 차량 또는 휠체어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매표소에서 화엄사의 입구까지는 경사진 산책로로 잘 닦여 있어 휠체어로도 이동이 가능하다.하지만 대웅전과 사사자삼층석탑, 각황전까지는 계단밖에 없어 접근이 어렵다. |
|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70번지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지도정보를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주소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입력하여 주십시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