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이블테스트
 |
|
펜션민박숙박&맛집&여행코스 > 증심사 (고유번호:4999) |
|
|
광주의 대표적 사찰, 증심사
광주지역의 대표적인 불교도량으로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신라 때 고승 철감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이 517년에 세운 절로 고려 선종 때(1094년) 혜소국사가 고쳐 짓고 조선 세종 때(1443년) 김방이 삼창하였는데 이때 오백나한의 불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09년(광해군 1)에 석경(釋經)·수장(修裝)·도광(道光)의 3대 선사가 4창(四創)했다고 한다. 그 후 신도들의 정성으로 몇 차례 보수가 이루어졌으나, 6 ·25전쟁 때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다가 1970년에야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들이 복구되었다.
증심사의 유물과 문화재
증심사의 유물로는 오백전(五百殿)과 비로전(사성전)에 봉안된 철조비로자나불 좌상(보물 제 131호), 신라 말기의 석탑인 증심사 삼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제1호), 범종각, 각층의 4면에 범자가 새겨진 범자칠층석탑 등 수많은 문화재가 있다.
특히 오백전은 무등산에 남아 있는 사찰 건물들 중 현재 가장 오래된 조선 초기(세종 25년)의 건물로 강진의 무위사 극락전과 계통을 같이 하는 정면 3간, 측면 3간의 단층 맞배지붕의 다심포 양식으로 그 희귀성이 돋보인다.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광주문화재자료 제1호
지정연도 1986년 11월 1일
시대 통일신라
종류 사찰
|
|
|
테 마 : | |
길 안내
* 서울 경부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 동광주IC
* 부산 남해고속도로 - 동광주IC
* 대구 88고속도로 - 동광주IC - 광주시내 - 화순방면 남문로 - 전남대병원 - 1.2km - 증심사 진입로 (좌회전)-4km- 주차장 |
|
광주 동구 운림동 56번지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지도정보를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주소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입력하여 주십시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