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이블테스트
 |
|
펜션민박숙박&맛집&여행코스 > 용화사(상주) (고유번호:5169) |
|
|
다양한 문화재를 만날 수 있는 사찰, 용화사(상주)
용화사는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찰. 용화사의 창건과 관련하여 누가, 언제 초창하였는지는 현재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전설에 의하면 이곳이 본래 신라 문무왕 때 의상조사가 처음 창건한 상안사의 유지라고 전해지고 있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함창읍지』에 이 절을 가리켜, ‘사창(司倉) 뒤 현탑동에 신라 고찰인 큰 절이 자리하는데, 석조 미륵상 2위가 있다’ 라고 적혀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석조 미륵상 2위가 바로 약사전에 봉안된 불상들로, 석조여래좌상과 또 다른 석불입상인데 모두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 밖에 전하는 연혁은 없지만, 경내에 석탑과 석등, 주초석 등 여러 가지 오래된 석재편들이 있어 이곳이 오래된 절터임을 알 수 있다.
용화사에 있는 다양한 유물들
용화사의 법당 안에 석불입상 보물 제118호, 석불좌상 보물 제120호, 각 일구가 봉안되어 있고 경내에도 석탑 및 석탑재, 광배편, 장대석 등 많은 석조의 부재가 동리 인근에 산재하고 있었던 것을 절 안에 모아두고 있다. 석탑은 법당을 중건할 때 동편 옆집으로부터 옮긴 것이며 법당 안의 석불 양구도 석탑 북쪽 대지 위에 있던 것을 현재의 자리에 보물 제118호 석불 입상은 한 장의 판석으로 여러 입상을 양각하였으며 판석은 곧 광배를 이루고 있는데 그 표면은 마멸이 심하여 화염문을 조각한 것이 희미하게 보일 뿐이다. 전체적으로 마멸이 심하여 섬세한 조각의 부분은 알 수 없으나 조형이 정제되고 조성 수법도 우수하다. 원만하고도 미려한 상호라든가 당당한 양쪽 어깨와 가슴, 그리고 부드러운 양팔의 표현은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에서 느껴지는 인상으로 8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물 제120호인 석불좌상은 주존으로 봉안하고 있는데 광배는 없으나 대좌를 갖추고 있다. 대좌는 상, 중, 하대의 석 장의 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덟 모로 조각한 하대석에는 복판연화문이 조각되어 있고 중대석에는 별다른 조식이 없으며 상대석은 원형으로 조성되었고 칙면에 앙연을 홑잎으로 각 여덟 각에 꽃잎을 한 개씩 조각하고 각 면에도 꽃잎을 한 개씩 배치하여 합해서 열 여섯 개의 꽃잎인데 각각 꽃잎 안에는 다시 이중의 화판 장식이 있다. 불상은 운모가 많이 섞인 화강석으로 조성된 여래상으로 전면적으로 마손이 심하여 풍부한 인상을 감하고 있으나 상호가 원만하고 양쪽 어깨가 당당하여 통일 신라의 작품으로 추측되며 양쪽 손과 발의 조각이 둔중하고 의문이 선명하지 못한 점으로 보아 신라 하대인 9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측할 수 있다.
|
|
|
테 마 : | |
길 안내
서울 - 중부내륙고속도로 - 함창 점촌IC - 함창읍사무소에서 차로 2~3분 거리 |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258번지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지도정보를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주소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입력하여 주십시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