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이블테스트
 |
|
펜션민박숙박&맛집&여행코스 > 대성사 (고유번호:5311) |
|
|
백제는 384년(침류왕 1)에 불교가 전래되었다. 인도의 고승 마라난타 (摩羅難陀)가 동진(東晋)으로부터 바다를 건너서 서울인 한산으로 들어오자 왕은 그를 궁 안에 머물도록 하였고, 그 이듬해 10명의 백제인을 출가시켜 승려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마라난타는 서역과 중국을 거쳐 백제로 오는 동안 음식과 기후가 맞지 않아 수토병(水土炳)으로 고생하였는데, 우면산 생수를 마시고 병이 나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궁중에서 우면산으로 자리를 옮겨“대성초당(大聖草堂)”을 짓고 머물렀다고 합니다. 이곳이 백제불교의 초전법륜성지(初轉法輪聖地)로 지금의 대성사다.
마라난타가 대성초당을 짓고 머무른 이후 근대까지 대성사는 많은 고승들이 머무르며 수행을 한 도량이었다. 특히 그 가운데에서도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운동 때 불교계 대표로 참가했던 용성(龍城) 스님은 일본에게 당한 경술국치(한일합병)의 치욕을 설욕하고 민족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분이다. 이러한 역사를 지니고 있는 대성사는 근래까지만 해도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사찰이다. 그것은 오랜 세월 속에 대성사의 역사가 사라지고, 용성스님이 독립운동을 했다는 이유로 사찰의 모든 것을 불태워 버린 일본군의 만행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용성스님의 법손(法孫)이신 불심도문(佛心道文) 스님께서 폐허가 되다시피 했던 이 대성사를 백제불교의 초전법륜성지(初轉法輪聖地)로서 다시 중창하였다. 이는 용성스님의 10대 유훈가운데“백제불교 초전법륜 성지를 잘 가꾸어라”는 뜻을 받든 결과이기도 하다.
|
|
|
테 마 : | |
길 안내
사당방면에서는 남부순환로를 따라 경부고속도로 서초IC 쪽으로 가다보면 예술의 전당이 나온다. 여기서 산 쪽으로 나 있는 주차장 진입로를 따라 산길을 오르면 대성사에 닿는다.(입구에 대성사 푯말이 서 있다.)
지방에서 올 경우에는 경부고속도로 서초IC로 나와 우면삼거리를 지나면 예술의 전당이 나온다. 여기서 유턴하면 대성사 입구 푯말이 보인다. 강북에서는 반포대교를 지나 반포로를 따라 직진하면 예술의 전당이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하면 대성사 입구 푯말이 보인다. |
|
서울 서초구 서초3동 산 140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지도정보를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주소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입력하여 주십시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