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에 이름이 붙는 유래는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대체로 지세 즉, 생긴 모양 또는 방향에 따라 지어진 것이
있고, 그 고장에 특징적으로 많이 나는 식물, 동물 또는 특산물에 따라 지어진 것이 있다. 또한 그 지역에 많이 사는
성씨에 따라 지어진 것도 있으며,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여 지명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한 지명에는 땅의 이름은 물론이고 바다의 이름, 내(川)의 이름들까지 포함되어 지표상의 모든 이름이 그 대상이 된다. 지명은 역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및 어원학 등의 학문에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고유지명은 대체로 신라의 삼국통일 후 한자화되었다. 그런데 지명의 유래를 살피는 데 있어서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자지명에는 일제가 우리를 식민지화하면서 고유지명의 근원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편의에 맞게 다시 만든 것이 많다는 점이다. 이를 테면 '새말'이라는 고유지명이 있을 때 그 유래를 따지지
않고 이를 한자화할 경우 '새롭다'는 의미의 신(新)자를 넣어 신촌, 또 '쇠'라는 의미의 금(金)을 넣어 금촌, 또
'사이'라는 의미의 간(間)자를 넣어 간촌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역사와 지리적인 형세가 반영되어 있는 이러한
고유지명의 유래가 일제에게는 소중할 리가 없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편의대로 한자화했던 것이다.
현재 우리의 주변에서 일고 있는 고유지명을 찾으려는 움직임은 이러한 점을 충분히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구리'라는 명칭은 1914년 3월 1일 부, 군, 면 폐합 때 부령(府令) 제111호로 당시 양주군 망우리면(忘憂里面)과
구지면(九旨面) 그리고 노해면의 일부지역을 병합하여 구지면의 '구'자와 망우리면의 '리'자를 합하여 구리면
(九里面)이라 한데서 유래한다. 따라서 현 구리 지역의 옛 명칭인 '구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현 구리시의 옛 명칭은 구지(龜旨,九旨)였다. 그 구지(龜旨)라는 명칭이 처음 나타나는 문헌은 조선시대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이다. 이 책이 만들어진 시기는 1530년 조선 중기인데 그 이전의 책에서는 구지라는 명칭을
찾을 수 없다. 한편 1871년 간행된 『경기읍지』의 지도에는 '구지(九旨)'라 표기되어 있다. 즉 '구지'의 한자 표기는
'구지(龜旨)'가 일반적이었지만 '구지(九旨)'라는 표기도 아울러 사용된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에 입각하여 '구지'의 어원을 살펴보면 육지가 강이나 바다로 돌출한 지역을 '곶'이라 하는데
구리지역은 한강과 왕산내로 둘러싸인 곶으로 볼 수 있다. 곶이 고지로, 고지가 구지로 변하여 이에 해당하는 소리를
한자로 '구지(龜旨)', '구지(九旨)'라 표기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