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덕사는 괴산군 도안면 광덕리 산 21-2번지에 자리하는 법화종 소속의 사찰이다. 사찰은 거대하고 높은 산에 기대어 위치하지 않고 낮은 보광산이라는 야산에 위치하고 있다. 보광산은 명산인 백마산의 한 줄기이다. 높은 산에 기대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찰 전체가 그리 높낮이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사찰의 전면에는 넓은 들판이 만들어져 있는데 사찰의 전언에 의하면 이곳에서 오래된 기와편 등이 발견된다고 한다. 이곳에 위치한 석불은 오래전부터 영험하다는 소문이 있어 주위 마을들이 찾아와 예불을 드렸다고 한다. 그 때 이곳을 미륵당이라고 부르고 사명은 천광사라고 했다고 전한다. 현재의 광덕사는 1949년에 만들어졌는데 이묘련 보살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이묘련 보살은 꿈에 석불의 계시를 받고 이곳에 사찰을 창건했다고 한다.
이후 사찰은 동네의 명칭을 따라 광덕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현재의 사찰은 1978년 무렵 지금의 주지인 도선스님이 주석하면서 대웅전을 중수하고 옛 요사를 헐어 지금의 새요사를 지었다. 또한 최근에는 2층으로 된 대적광전을 새롭게 지었다. 사찰의 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으나 석불입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이곳에 계속 자리를 잡고 위치해 있었다. 한 자리에서 천여년을 비 바람과 더불어 지키고 있는 것이다.
이 불상은 현재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 75호로 지정받아 보호되고 있다. 그 조각이 매우 힘있고 웅건한 불상임에도 불구하고 그 세부 조각은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광덕사는 매우 넓은 대지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이곳에 사찰이 조영되었다면 매우 거대한 사찰이었음이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는 석불만이 그 당시의 사찰을 얘기해주고 있다. 광덕사에 들러 고려시대에 있었던 사찰의 대단한 광경을 다시 한번 떠올려 보는 것도 하나의 즐거움일 것이다.
테 마 :
길 안내
광덕사는 괴산군에 위치하고 있으나 진천보다는 증평에서 훨씬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증평은 중부고속도로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다. 중부고속도로 증평나들목을 통해 증평에 진입한 후 괴산 및 음성방향으로 이어지는 국도를 계속 따라 3km 가량 차를 몰면 괴산방향과 음성방향으로 국도가 갈라지게 된다. 이 삼거리에서 음성방향으로 약 2km 정도 달리면 광덕사거리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도안농공단지방향으로 우회전 한 후 약 800m 가량 지나 왼편으로 작은 포장로가 나타나게 된다. 이 포장로를 따라 약 300m 지나면 왼편으로 작은 길이 나타나고 이 길 끝에 광덕사가 위치하고 있다.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광덕리 산21-1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지도정보를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주소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입력하여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