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이블테스트
 |
|
펜션민박숙박&맛집&여행코스 > 금선사 (고유번호:5275) |
|
|
늦은 가을 晩秋를 생각하며, 옛 가람을 찾는 떠나는 길은 다소 분위기가 있다. 서울시내, 그 중 실향민들의 그리움이 물씬 느껴지는 이북5도청을 지나 한적한 주택단지를 오르면, 여느 등산로와는 다른 한적한 가을길이 보인다. 차량 한대 올라갈 수 없을 정도로 좁은 길이지만, 계곡을 따라 자연지세를 이용하여 뚫린 길은 은근히 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한다.
金仙 - 즉 부처의 가람이라는 사찰을 쫒아 산길을 오르며, 두ㆍ세번 숨을 고를 때 저 멀리 무학이 보았다는 정기가 하얀 동굴에서 펼쳐진다. 때마침 흩어지는 늦가을의 햇살때문일까. 눈이 부실만큼 쏟아지는 햇살과 늦가을의 붉은 단풍이 신비감을 불러온다. 이처럼 하얀 석굴에서 뿜어지는 정기는 이 곳이 그 옛날 신라 성지 목정굴임을 예감케 한다.
조선시대 정조임금 때, 용파스님과 농산스님의 기도로 탄생한 순조의 이야기가 묻어 있는 곳 - 금선사(金仙寺) 억불의 시대에 살아 남기 위한 기복의 전파였지만, 농산스님의 환생으로 순조가 탄생하고, 그 덕으로 금선사는 천년의 맥을 이어오고 있다. 목정굴에는 그 옛날 기도도량의 영험을 몸소 받으려는 수많은 불자들이 아침나절 예배하며, 산길을 오르며, 자신들의 가족에 대한 祈福을 위해 치성드린다.
|
|
|
테 마 : | |
길 안내
* 서울 시내(광화문) : 광화문 - 자하문터널 - 상명대앞 - 신영동삼거리 - 구기터널앞 삼거리 - 이북5도청
* 서울 남부(강남, 동작)
1) 한강대교 - 강변북로 - 내부순환로 - 홍제IC - 홍은사거리(유진상가) - 상명대앞 - 신영동삼거리 - 구기터널 앞 삼거리 - 이북5도
2) 한강대교 - 광화문 - 자하문터널 - 상명대 - 신영동삼거리 - 구기터널앞 삼거리 - 이북5도청
* 서울 서부(목동) : 성산대교 - 내부순환로 - 홍제IC - 홍은사거리(유진상가) - 상명대앞 - 신영동삼거리 - 구기터널 앞 삼거리 - 이북5도청
* 서울 동부(잠실, 송파) : 한강대교 - 강변북로 - 내부순환로 - 국민대IC - 북악터널 - 신영동삼거리 - 구기터널앞 삼거리 - 이북5도청
* 서울 북부(도봉, 노원) : 정릉 - 북악터널 - 불광역사거리 - 구기터널 - 이북5도청
※ 이북5도청에서 금선사까지 도보로 약 20분 ~ 30분 소요
이북5도청에서 비봉 매표소 앞 금선사 주차장까지는 길이 매우 협소하므로 대형 버스나 중대형 자가용의 경우 이북5도청 앞 주차장 이용
평일(월~금) 이북5도청 앞 주차장은 무료이나 공휴일과 주말의 경우 유료로 운영(가급적 자가용 이용 자제 바람)
|
|
서울 종로구 구기동 196-2 지역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지도정보를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주소를 확인하여 올바르게 입력하여 주십시오. |
|
|
|
|
|